기자수첩

Photo Image

국가 간 사이버 전쟁이 치열하다. 최근 미국 법무부는 2014년 대규모의 야후 해킹 사건 용의자로 러시아 연방보안국(FSB) 요원 2명과 해커 2명을 기소했다. 미국 정부가 사이버 범죄와 관련해 현직에 있는 러시아 정부 관계자를 기소한 것은 처음이다. 야후 해킹으로 무려 5억명의 개인 정보가 유출됐다. 미국 정부는 지난해 말 “러시아가 온라인으로 대선에 간여했다”며 미국 거주 러시아 외교관을 추방하기도 했다. 최근 국가 간 사이버 전쟁은 더욱 노골적인 형태로 전개되고 있다. 과거 사이버 전쟁은 물밑에서 은밀하게 벌어지고 공개적인 보복은 자제하는 경향이 있었다. 그러나 이번 미국 법무부의 러시아 해커 기소에서 보듯 사이버 공격은 더 대범해졌고, 대응 강도도 강해지는 추세다.

Photo Image

글로벌 보안 기업 포스포인트는 '2017년 보안 전망 보고서'에서 새로운 냉전 또는 열전을 방불케 하는 디지털 전쟁이 펼쳐질 것이라고 예고했다. 국가 간 사이버 전쟁은 아직 국제 합의가 이뤄지지 않은 영역인 만큼 자칫 걷잡을 수 없는 공격과 보복으로 이뤄질 가능성도 있다.

사이버 위협이 과거에 비해 조직화하고 정교해지면서 각국은 사이버 방어 태세를 강화하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선거 기간에 “미국의 사이버 보안 기술이 글로벌 경쟁에서 뒤처지고 있다”고 말하기도 했다. 이를 의식한 듯 그는 국방부와 법무부 산하에 연방정부 차원의 사이버 보안 대응팀을 구성하도록 하며, 대규모 예산 편성도 공약했다.


우리나라도 최근 중국 및 북한발 해킹으로 골머리를 앓고 있다. 중국 해커 조직은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사드)의 한반도 배치라는 정치적 이슈에 민감하게 반응, 대상을 가리지 않고 해킹을 시도하고 있다. 북한도 수시로 주요 사이트를 해킹하며 우리를 자극하고 있다. 심화되는 글로벌 사이버 전쟁에 대응, 경계심을 높이고 정책적 지원과 투자를 집중해야 한다.


권상희기자 shkwo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