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 Image
ⓒ게티이미지

전쟁, 지진 등 천재지변이 일어나도 금융 데이터의 유실을 제로화하겠다던 '은행 공동 벙커형 백업센터' 건립이 백지화 위기에 처했다. 정부기관 간 이견과 참여 은행의 소극적 대응으로 북한 테러를 무력화하겠다던 당초 계획도 흐지부지됐다.

16일 금융권에 따르면 충북 보은 KT위성센터 지하에 설립하려던 지하벙커 금융백업센터 계획이 참여기관 간 이견 등으로 전면 백지화될 위기에 처했다.

금융위원회는 2013년 '금융전산 보안 종합대책'의 일환으로 벙커형 금융권 공동 백업센터 구축 계획을 발표했다. 은행과 방송사를 공격한 3·20 전산 대란 이후 독립 백업센터 구축의 필요성이 제기됐기 때문이다.

대규모 투자비가 들어가는 만큼 은행 반대가 거셌지만 지난해에 구축하기로 합의하고 토지 매입과 기본 인프라 설비 작업에 착수했다. 하지만 토지 매입도 시작하지 못한 채로 사업은 멈췄다.

Photo Image
ⓒ게티이미지

참여 은행도 벙커형 백업센터 구축에 대해 회의적인 반응을 보이면서 실행 집행 기관과 회의 한 번 하지 않았다.

한 은행 관계자는 “벙커 백업센터 건립에 대해 최근 은행 내부에서도 물 건너갔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라며 “금융결제원도 참여 은행에 진행 상황은 물론 이후 일정 등에 대해 어떤 통보도 없었다”고 설명했다.

또 다른 은행 관계자도 “제2백업센터를 이미 보유한 대형 은행도 최근 벙커 백업센터 건립에 부정적인 여론이 형성되고 있다”며 “지금 같은 상황이라면 획 자체를 재검토해야 한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라고 말했다.

한국은행과 금융결제원 간 미묘한 신경전도 벌어졌다.

한국은행 산하 금융정보화추진협의회는 15개 시중은행과 태스크포스(TF)를 꾸리고 기본 계획을 수립했다. 이후 사업 실행 주체를 금융결제원으로 이관했다. 하지만 선정 부지에 대해 금융결제원이 부정적인 입장을 비치면서 사업 진행이 되지 않고 있다.

한국은행 관계자는 “주요 계획 등을 수립했지만 이후 실행 단계에서 조율해야 할 부분이 생긴 것은 맞다”면서 “건립 문제는 금융결제원 담당이라 한국은행이 구체적 답변을 하기엔 부담이 된다”고 설명했다.

Photo Image
ⓒ게티이미지

보안업계는 이 같은 상황에 대해 우려했다. 금융권 보안 불감증이 또다시 대형 사이버 사고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고 경고했다. 주요 시중은행의 주전산센터와 재해복구센터는 대부분 서울과 경기 지역에 몰려 있다.

현 체계로는 금융전산시스템을 파괴하는 사이버 공격이 본격 개시될 경우 금융 정보가 영구 손실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최근 북한과 중국 소행으로 추정되는 사이버 테러 시도가 증가하고 있어 벙커형 백업센터 건립을 조속히 추진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금융결제원은 이와 관련해 “벙커형 백업센터 백지화는 사실무근”이라며 “고려해야 할 사항이 있어 일부 일정이 늦춰진 것은 사실이지만 당초 계획대로 추진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한국은행과 참여 은행과도 제반 상황에 대해 정보를 공유하고, 지속적으로 이야기를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길재식 금융산업 전문기자 osolgil@etnews.com